경기언론인클럽 주최 토론서 제기 어디에 쓸것인지 시스템 마련 제언 기후위성 데이터 수집 긍정적 분석 “경기도 기후위기 대응역량 중요 역할”
17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 경기문화재단에서 경기언론인클럽 주최로 열린 ‘기후재난에 대한 새로운 접근, 경기기후플랫폼’토론회에서 패널들이 플랫폼 운영 방안에 대한 토론을 벌이고 있다. 2025.9.17 /경기언론인클럽 제공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경기기후플랫폼에 회생절차폐지 대해 실질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기후위성의 경우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긍정적 분석이 나왔다. (사)경기언론인클럽은 17일 경기문화재단 아트홀에서 ‘기후재난에 대한 새로운 접근, 경기기후플랫폼’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월차 사유 이날 토론회에는 김한수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에너지연구실장이 발제를 했고, 최우석 세종대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 은영호 연세대 인공위성시스템학과 연구교수, 이제승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 등이 토론에 나섰다. 토론회에서는 경기도의 기후위기 대응 가정방문서비스 정책인 ‘경기기후플랫폼’과 ‘경기기후위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경기기후플랫폼은 실측 기반의 정밀 기후데이터를 도민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재난 위험 정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경기기후위성은 경기도 전역을 관측해 기후재난 예측이나 탄소배출 등을 관측하는 초소형 위성으로, 도는 오는 11월 국민은행 자동차할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사된다. 두 사업 모두 경기도가 지방자치단체로서 최초로 실시하는 기후 정책이다. 전문가들은 두 정책 모두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관측과 함께, 이를 개발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실질적인 활용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한수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에너 금융권대출상담 지연구실장은 주제 발표에서 경기기후플랫폼에 대해 설명하며 “지속적인 데이터 유지관리는 물론 경기기후위성의 영상 데이터와 연계해 경기도의 기후위기 대응 역량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지는 토론회에서 이제승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경기기후플랫폼을) 장기적으로 유지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실질적으로 어디에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질문을 항상 받게 된다”며 “잘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은영호 연세대 인공위성시스템학과 연구교수는 경기기후위성에 대해 “나사는 물론이고 유럽이나 일본에서도 위성을 올려 온실가스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기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관해 연구하는 추세”라며 “이러한 부분을 경기도가 나서서 힘을 보태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강 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