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관가에 따르면 통계청은 오는 10일 ‘8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지난 7월 취업자는 2902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1000명 늘어 두 달 연속 1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이 10만∼20만명 부근에서 등락하는 가운데 건설을 비롯한 내수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한파’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청년층 일자리 부진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주식길라잡이 최근 경기 진단도 잇따라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경제 동향 9월호’ 보고서를 내놓고, 12일에는 기획재정부의 ‘최근 경제 동향’(그린북)이 나온다. KDI는 지난 8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부진에 주로 기인해 낮은 생산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다만 시장 금리의 지속적인 하락과 소비 부양책 등으로 소비 여건은 개선홍콩항셍지수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지난 그린북에서 ‘경기 하방압력’이라는 표현을 9개월 만에 삭제해 경기 상황에 대한 낙관적인 평가를 내놨다. 기재부는 11일 ‘9월 재정동향’을 발표한다. 두 차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이후 나라살림 적자폭과 나랏빚 증가폭이 얼마나 커졌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8월 재정동향을 보면 올해 6월까지 총수입은 3공매도순위 20조 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4조 7000억원 늘었고, 총지출은 389조 2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7조 3000억원 증가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8조 6000억원 적자를 보였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수지 25조7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94조 3000억원 적자다. 이는 바다이야기릴게임 2020년 110조 5000억원, 2024년 103조 4000억원, 2022년 101조 9000억원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규모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8일(월) 10:00 기후특위(1차관, 국회) 파칭코하는법 14:00 기재위 전체회의(1차관, 국회) △9일(화) 10:00 교섭단체 대표연설(장관, 국회) 11:00 기재부 AI 역량강화 교육 출범식(장관, 비공개) 14:00 국무회의(장관, 대통령실) △10일(수) 08:00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장관, 서울청사) 08:00 일자리전담반TF(1차관, 국회) 10:00 교섭단체 대표연설(장관, 국회) 10:40 헌정회 정책세미나(장관, 비공개) 11:00 기재위 조세소위(1차관, 국회) 14:30 기재부-인천광역시 MOU 체결(장관, 서울청사) △11일(목) 09:00 국제금융기구 현안점검회의(1차관, 비공개) 09:00 차관회의(2차관, 서울청사) 10:00 복권위원회(2차관, 비공개) 14:45 AI 반도체 업계 간담회(2차관 비공개) 16:00 영국 내각사무처 차관 면담(1차관, 비공개) 16:40 임실군 자매결연 협약 체결(장관, 임실치즈테마파크) △12일(금) 08:00 재경관회의(장관, 비공개) 10:00 자살예방정책위원회(1차관, 비공개) 16:00 물가관계차관회의(1차관, 비공개) ◇주간 보도 계획 △8일(월) 10:30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시상 15:30 대국민 재정교육 활성화 현장 간담회 개최 16:30 인천공항 면세점 현장방문 및 업계 간담회 △9일(화) 11:50 AI 대전환시대 이끌어 나갈 ‘기획재정부 AI 전사’ 육성한다 12:00 2025년 재배면적(확정) 및 농작물 생산량조사 결과(봄감자) 12:00 KDI 경제동향(9월호) 15:00 통계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인공지능(AI) 시대 국가통계의 미래를 논하다 15:00 통계청, 개발도상국 SDGs 및 빅데이터 통계 역량강화 2차년도 초청연수 실시 △10일(수) 08:00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개최 08:00 2025년 8월 고용동향 09:00 2025년 9월 일자리전담반(TF) 개최 10:00 2025년 KSP 중남미 지역세미나 15:00 2025년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실시 16:00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기획재정부-인천광역시 업무협약(MOU) 체결 △11일(목) 10:00 2025년 9월 재정동향(7월말 누계기준) 10:00 국제금융기구 현안점검회의 개최 11:00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등 6개 입법예고 12:00 2023년 청년(20~39세)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15:00 제23차 관계부처 합동 재정집행 점검회의 개최 16:00 통계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업무협약을 통한 인구감소지역 정책 지원 및 공동세미나 실시 17:00 AI 반도체 업계 쓴소리 간담회 개최, 민관합동 정책개발 추진 18:30 기재부-임실군-국민연금공단 상생 자매결연 협약 체결(현장 방문) △12일(금) 10:00 2025년 9월 최근 경제동향 11:00 재경관 화상회의 개최 △14일(일) 12:00 아시아개발은행(ADB)-한국 장학제도 장학생 입학 행사 개최 12:00 2025년 EDCF-시민사회 간담회 개최 강신우 (yeswhy@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