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 운하 한가운데 위치한 콜로라도 섬에 서식하는 곤충 '투우사 벌레(matator bugs)'는 깃발 모양의 뒷다리를 정교하게 흔드는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 위험을 자초할 수도 있는 화려한 몸짓의 비밀이 풀렸다. 움맛 솜지 미국 스미소니언 열대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깃발 모양의 다리를 흔드는 행동이 포식자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연구결과를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현대 동물학(Current Zo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투우사 벌레의 뒷다리 흔들기를 짝짓기를 위한 구애 행동으로 여겼다. 짝을 찾거나 경쟁 상황에 놓였 성남도촌지구 을 때 다리 흔들기가 두드러지는지 관찰한 결과, 짝짓기 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투우사 벌레의 포식자인 사마귀와 무해한 여치를 대상으로 대조 실험을 진행했다. 사마귀가 눈앞에 나타났을 때 다리 흔들기 빈도는 평소보다 약 7배 늘어났다. 사마귀는 뒷다리를 흔들고 있는 벌레는 단 개인파산면책자 한 번도 공격하지 않았다. 하지만 움직임이 없는 개체는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반면 여치와 같은 위협적이지 않은 곤충이 나타났을 때 뒷다리 흔들기 행동 빈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투우사 벌레의 깃발 모양 뒷다리 흔들기가 포식자의 공격을 회피하기 위한 방어적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학자금대출이자전액감면 파나마 현지와 온라인 자료를 조사해 최소 다섯 종의 투우사 벌레의 친척 벌레들도 같은 행동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흥미롭게도 이 곤충들은 모두 독성을 지닌 시계꽃 덩굴을 먹는다. 연구팀은 이런 식성이 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체내에 독성 물질이 있으면 포식자가 꺼려하게 된다. 연구 사업자신용대출 팀은 투우사 벌레의 깃발 흔들기가 바로 이런 특성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며 '나를 공격해봤자 해롭기만 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고 신호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작고 하찮아 보이는 곤충의 행동이 사실은 정교한 진화 전략임을 보여준다. 솜지 박사후연구원은 "곤충의 방어 전략을 이해하는 것은 동물이 어떻게 진화하고 다양화되었 국민카드 는지를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고 설명했다. <참고 자료> - doi.org/10.1093/cz/zoaf047 [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