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서울시 게임 및 e스포츠 산업 활성화에 앞장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SBA, 대표이사 김현우)은 오는 19일(금)부터 21일(일)까지 3일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게임·e스포츠 서울(Game Esports Seoul) 2025’(이하 GES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작년에 이어 올해로 2회째를 맞는 GES 2025는 ‘아시아 최고의 게임·e스포츠 페어(글로벌 진출 플랫폼)’를 비전으로, 미래 서울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인 게임·e스포츠 산업의 성장과 산업에 대한 시민의 이해도 제고, e스포츠 선도도시 서울의 글로벌 위상 확산을 목표로 한다. 전세자금대출 상환기간 올해는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이자 교통의 중심지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되어 시민들과 외국인 관광객의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더 많은 시민들이 행사장을 방문하여 게임 체험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먼저, 아트홀 2관에서 9월 20일(토)에 넵튠의 자회사 님블뉴런이 자체 개발·서비스하는 게임 ‘이터널 리턴’ 새마을중앙회 채용 의 대한민국 이스포츠 리그(KEL)플레이오프 경기가 메인 이벤트로 진행된다. ‘이터널 리턴’은 국내 게임사 님블뉴런이 개발한 국산 게임으로, 올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e스포츠 전문종목으로 승격되기도 했다. 해당 IP의 종목화 및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자 이번 플레이오프 개최를 추진했다. 이를 통해 우수 국산 게임 IP의 해외 경쟁력 데키마셍 을 강화하고, 서울이 게임의 e스포츠 종목화를 지원하는 등 e스포츠 선도 도시로서 글로벌 위상을 한층 더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플레이오프 경기 시작 전에는 8명의 인플루언서와 현장 관람객이 함께하는 이터널리턴 이벤트 매치가 진행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관람객은 현장에서 참가 신청을 하면 되고 추첨을 통해 참가자가 선정된다. 최상위 수학 문제유형바이블 라이트 중 3-2 이 밖에도 컨퍼런스홀에서는 결승전에 직행한 선수 4명과 함께하는 뷰잉파티, 결승 진출팀 선수들의 팬미팅이 진행된다. 전국 중·고등학생, 장애인을 대상으로 게임 최강자를 가리는 ‘2025 서울컵’이 9월 21일(일) 아트홀 2관에서 열린다. 청소년 대상 발로란트 종목, 장애인 대상 FC 온라인 종목 각각 결승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원리금균등상환대출 행사 당일 시상식도 진행되며 수상팀에게는 상금과 메달, 1위 팀(자)에게는 서울특별시장상을, 2~3위 팀(자)에게는 서울경제진흥원 대표이사상을 수여한다. 2017년 국제 프로대회로 시작한 ‘서울컵’은 2022년부터 청소년 중심 대회로 리브랜딩해 건전한 게임 문화 조성과 e스포츠 저변 확대에 기여해왔다. 올해 대회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장애인 부문을 신설, 게임을 통해 더 많은 참가자들이 함께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포용적 e스포츠 축제로 발전한다. 아트홀 1관에서는 주요 대·중견 기업의 부스와 서울 소재 중소게임사의 성장 지원을 위해 서울 게임 공동관(SEOUL GAME ALLEY)과 FGT를 진행하는 ‘PLAY ZONE’이 운영된다. 게임사에게 홍보와 테스트베드의 장을, 시민들에게는 다양한 게임체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네오위즈, 아크시스템웍스, 님블뉴런, CJ E&M, 해긴 등이 주요 전시 부스에 참여하고, e스포츠 프로구단의 젠지와 DRX의 e스포츠 아카데미 홍보 부스 또한 함께 운영된다. 서울게임공동관(SEOUL GAME ALLEY)에는 에피드게임즈, 저승협회 등 26개의 인디게임사가 참여한다. 또한, 인디게임 테스트 플랫폼 ‘플리더스’와 협력하여 FGT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PLAY ZONE’을 운영하고, 해당 존에는 15개의 인디게임사와 글로벌 인디게임 10개사가 참여한다. 이 외에도 2025 서울 게임 공모전 본선 심사 및 시상식, 게임·e스포츠 산업 직무 세미나 및 일자리 매칭, XR 체험존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여 게임·e스포츠 팬 뿐만 아니라 모든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GES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대현 서울경제진흥원 창조산업본부장은 “게임·e스포츠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선도 도시 서울의 위상 강화를 위해 열리는 ‘GES 2025’가 성공적으로 개최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게임·e스포츠 문화를 더욱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산업 관계자들에게는 서울의 게임·e스포츠 산업 역량을 체감할 수 있는 중요한 비즈니스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원기기자 kaki1736@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