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주최로 11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이 열렸다. 단체는 지난달 11일부터 24일까지 하동·삼천포·고성 등 경남 도내 석탄발전소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 3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참석자들이 노동자 고용 대책 마련 등을 촉구하고 있다. /최석환 기자
경남 석탄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10명 중 9명이 시설 폐쇄에 따른 고용불안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한 고용 불확실성을 느끼는 노동자라도 절반 이상은 재생에너지 전환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은 하동·삼천포·고성 등 경남 도내 석탄발전소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 3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개인사업자 소득공제 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이 설문은 석탄발전소 폐쇄에 따른 일자리 변동과 재생에너지 확대 관련 인식을 묻는 내용이다. 조사 결과, 응답자 72%(224명)는 '석탄발전소 폐쇄 이후 본인의 고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확신할 수 없다'고 답했다. '틀림없이 해고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23%(70명), '유 파산면책자 지될 것'이라고 답한 비중은 3%(9명)였다. 그 뒤로는 '문제없다' 1%(3명), 무응답 1%(3명)였다. '중앙 정부가 석탄발전소 폐쇄 후 발전소 협력업체 노동자 고용유지를 위해 정책·제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응답자 43.4%(134명)는 '노력 안 한다', 응답자 42.1%(130명)는 '전혀 안 한다'고 각각 답 해드림패키지 변했다. '충분하다'는 2.9%(9명), '조금 노력한다'는 11%(34명)에 불과했다. 반면 경남도의 발전 노동자 고용유지 노력 유무 질문을 두고서는 응답자 43.7%(135명)가 '전혀 안 하고 있다'고 답했다. 43.4%(134명)는 '노력을 안 하고 있다'라고 봤다. '조금 노력한다'는 9.4%(29명), '충분하다'는 2.9%(9 신한 마이카 대출 한도 명)였다. 이번 설문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고용불안이 큰 비정규직 발전 노동자라도 재생에너지 전환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응답자 10명 중 6명은 '기후 위기 대응을 목적으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느냐'는 물음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보면 '동의'는 49.2%(152 mg환승론 명), '적극 동의'는 15.9%(49명)였다. 반대로 '동의 하지 않음'은 21.7%(67명), '전혀 동의 하지 않음'은 13.3%(41명)로 집계됐다. 아울러 응답자 10명 중 9명은 '경남도가 지역에너지공사를 설립해 폐쇄되는 석탄발전소 노동자를 고용한 후 공공 재생에너지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교육훈련을 시켜 일자리를 제공하자는 주장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밝혔다. 정확히는 49.5%(153명)가 '동의', 42.1%(130명)가 '적극 동의' 의사를 내비쳤다. '동의 하지 않음'은 5.8%(18명), '전혀 동의 하지 않음'은 2.6%(8명)였다. 풍력발전과 같은 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절반 이상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들은 한국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 90% 이상이 민간 기업 소유로 운영되는 현실과 관련해서는 발전 비정규직 일자리 보장에 악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응답자 62.1%(192명)가 재생에너지 발전 민간 쏠림 구조에 '매우 부정적'이라고 했다. 32%(99명)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긍정적'이라고 밝힌 이는 4.5%(14명), '매우 긍정적'이라고 한 이는 1%(3명) 뿐이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은 발전 비정규직 고용 안정 대책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석탄발전소 폐쇄 일정에 맞춘 구체적인 고용 방안을 발전 노동자들과 함께 논의하는 상설 협의체 구성도 제시했다. 단체는 "에너지 전환 계획·고용에 미치는 영향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면서 "LNG 발전과 같은 반쪽짜리 일자리가 아니라 재생에너지라는 제대로 된 대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이 밖에 △공공 주도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경남도 지역에너지공사 설립 후 공공부문 주도 해상풍력 사업 추진 △발전 비정규직 대상 재생에너지 분야 직업훈련 프로그램 운영 △지역 중심 에너지 전환 정책 수립 등도 촉구했다. 단체는 이달 25일 오후 2시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 4층 회의실에서 '석탄발전소폐쇄에 따른 공공재생에너지 확대와 고용대책 마련'을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최석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