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 뉴스1) 남승렬 김규빈 한귀섭 이재규 기자 = 경북대병원 노조 소속 일부 간호사와 노동자 등이 17일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며 전국 3개 국립대병원 노조와 공동파업에 들어갔지만 진료 차질은 없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 경북대병원분회(경북대병원 노조)와 병원 측에 따르면 이번 파업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청소·돌봄 노동자 등 20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서울 숭례문 인근에서 열리는 파업 결의대회 대부업자들은 에 참가하기 위해 상경했다. 그러나 중환자실 근무 등 필수인력은 병원에 남아 있고, 근무가 아닌 인력이 이날 파업에 참여해 진료 공백이나 혼선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날 하루 진행된 파업에는 경북대병원분회와 강원대병원, 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식당분회, 충북대병원 등 전국 4개 국립대병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참여했다. 교직원 대출경북대병원에선 지난 8~12일 파업 찬반투표 결과, 투표 대상 조합원 2236명 중 1852명(82.8%)이 참여해 1605명(86.6%)이 찬성했다. 경북대병원 노조는 "이재명 정부는 말로는 공공의료와 지역의료를 강화한다고 하지만 내년 정부 예산에 국고 지원 예산이 사실상 윤석열 정부와 다를 바 없다"며 "공공의료가 위기에 대전아파트후순위대출 처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공공·지역의료 국가 책임 강화, 노동시간 단축, 현장 인력 충원,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대병원도 이날 파업에 나섰다. 인력 충원, 임금체계 개편, 공공의료 강화가 핵심 요구사항이다. 서울대병원과 보건복지부는 환자 불편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중대형아파트 방침이다. 서울대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외래 진료 및 수술 취소 사례는 집계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외래 진료와 수술을 담당하는 전문의들은 노조에 속하지 않았고, 노조 역시 응급실과 수술실 등 필수 진료부서는 파업 대상에서 제외해 왔기 때문이다. 통상 환자 전원이 이뤄지는 인근 상급종합병원에서도 별다른 전원 사례는 보고 창업자대출 되지 않았다. 강원대병원도 2000년 병원 설립 후 처음으로 파업에 들어갔다. 다만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의료 인력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아 진료 차질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대병원도 파업에 동참했지만, 진료는 차질 없이 운영됐다. 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극히 일부인 40여명 안팎에 그쳤다. 참여 인원 상당수도 연차를 사용한 뒤 파업에 동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대학교병원 노조가 서울대·강원대·충북대병원 노조와 함께 공동 파업에 돌입한 17일 대구 중구 경북대병원에서 환자와 보호자가 지나고 있다. 2025.9.17/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이날 오후 상경 투쟁에 나선 4개 국립대 병원 노조 조합원들도 '누구나 어디서나 건강할 권리 쟁취'란 슬로건 아래 공공의료 강화와 보건의료 및 돌봄 인력 확충, 노동조건 개선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오늘 공동 파업은 1차 경고 성격이지만, 정부가 구체적인 대책을 약속하지 않고 노사 간 교섭에 진전이 없으면 강력한 2차 파업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pdnams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