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이 첫 행보로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를 찾아 ‘피해자 중심’의 관점과 젠더폭력 해결 의지를 보였다. 원 장관은 취임 하루 만인 11일 디성센터를 찾아 “피해지원, 수사, 유통방지 등을 아우르는 피해자 중심의 원스톱 대응체계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추진 과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원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에 있는 디성센터에 방문해 “기술 발전과 함께 디지털성범죄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다. 새로운 국민주권정부에서는 모두가 안전한 일상을 누리고, 폭력으로 인권을 침해받지 않도록 젠더랩어카운트 폭력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디성센터는 촬영물 삭제 지원, 상담, 수사·법률·의료 지원 연계,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2018년 4월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설치됐다. 실제 지난해 디성센터가 지원한 피해자는 총 1만305명으로, 개소 이래 처음으로 1만명을 양귀비 넘어서 디지털 성폭력의 심각성이 드러났다. 개소 연도인 2018년 1315명에서 6년 새 8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원 장관이 취임하자마자 디성센터를 방문한 것은 전날 취임사에서 ‘피해자 중심 지원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한 것과 맥이 닿아있다. 원 장관은 전날 “디지털 성범죄, 교제폭력·스토킹, 성매매 등 날로 변화하는 젠더 폭력에 대한 신오뚜기 주식 속한 대응과 아울러 더욱 섬세한 피해자 중심 지원체계를 갖추겠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과거 텔레그램 엔(n)번방 성착취 사건 당시 피해자 변호인단으로 활동했고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운영위원, 한국성폭력상담소 자문위원 등을 맡아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을 이어온 바 있다. 원 장관은 이날 디성센터 직원들을 향해 “장관으로 임명된 후 첫 행보US증권연구소 로서 이곳에 서게 되니 변호사 시절 엔번방 사건 피해자 변호인단으로 활동했던 기억이 떠올라 감회가 새롭다”며 “피해자의 고통을 지켜보며 피해영상물을 신속히 삭제해 유포를 막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실히 깨달았고 그만큼 여러분의 역할이 크다는 것도 실감했다”고 말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및 디성센터 종사자들은 원 장관에게 꽃다발을 건네며 바다이야기 게임 다운로드 환대했다. 간담회장에는 ‘환영’이 써진 펼침막이 내걸렸다. 신보라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첫 행보로 디성센터를 방문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장관님께서는 이미 오랜 기간 한국여성인권진흥원과도 인연을 맺고 여성폭력 피해자 법률 지원, 자문, 종사자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도움을 주신 것을 알고 있다”며 “오늘 방문해주신 것도 우리 진흥원과 디성센터의 기능을 강화해 피해자에게 더 가깝고 질 높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시기 위함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이 11일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찾아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고나린 기자
원 장관의 첫 일정은 ‘여가부 폐지’에 동의했던 전임 장관인 김현숙 전 여가부 장관의 행보와도 대비된다. 김 전 장관은 2022년 5월 취임 후 1달간 가족·청소년 행사 방문, 천안함 기념관 방문 등 9건의 공개 일정을 소화했지만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 현장은 ‘패싱’해 논란을 산 바 있다. 원 장관의 이날 방문은 1년7개월 이어진 장관 공백과 폐지 위기를 딛고 여가부가 젠더폭력 피해자 위한 부처로 거듭날 것을 상징하는 행보로 해석된다. 원 장관은 디성센터의 역할 강화와 더불어 예산 지원도 강조했다. 지난해 여가부는 딥페이크 성범죄 등 디지털성범죄 피해가 나날이 심각해지자 디성센터 인력을 보강해 상담·삭제 지원 등을 강화하는 목표를 세웠지만, 국회 본회의에서 디성센터 예산 감액안이 통과되며 지원 강화책을 추진하는 데 차질을 입었다. 2026년 예산은 올해보다 늘어 여가부는 내년도 디성센터 인력을 23명 늘리기로 했다. 디지털성범죄 방지 관련 예산도 올해보다 6억원 이상 늘었다. 원 장관은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피해자 곁을 지키는 종사자들의 역할도 중요한 만큼 인력, 예산 등 필요한 지원을 꼼꼼히 살피고 재원 마련이 필요한 사안은 국회 및 재정 당국과 긴밀히 협의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나린 기자 m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