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또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경남의 출생아 수는 1만3100여 명으로 10년 만에 처음으로 반등했다"면서 "합계출산율 또한 0.83명으로 소폭 상승했다. 그 중 창원시의 출생아 수는 4400명으로 도내 최다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 정부저소득층지원 창원시는 여전히 심각한 인구 감소 국면에 놓여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의원은 "현재 민간 산후조리원의 평균 이용료는 2주 기준 300만 원을 훌쩍 넘는다"며 "이러한 막대한 경제적 부담과 지역 간 접근성의 차이는 조리원 이용 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맞벌이 부부·청년 부부·저소득 산모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시중은행 예금금리 말했다. 김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은 단순한 복지시설이 아니라 인구 회복의 기반이자 생존 전략이다"면서 "전국적으로 해남군과 양구군 등 지방 중소도시들이 공공산후조리원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높은 이용 만족도와 출산 후 지역 정착률 개선이라는 긍정적인 성과를 입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창원시는 인구 규모와 도시 생애최초주택구입 자격 인프라를 고려할 때 충분히 모범적인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공공산후조리원은 단순한 의료지원이 아닌 산모의 회복·신생아 돌봄·정서적 안정을 통합 지원하는 시스템이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올해 7월 기준 현재 전국 9곳 시·도에 21곳의 공공산후조리원이 운영 중이며 9곳이 추가로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경상 신한은행 현금서비스 남도 역시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혜란 시의원은 "이제는 창원시도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고 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래를 위한 출발점을 만들어야 할 시점이다. 출산이 부담이 아닌 행복한 기대가 될 수 있는 창원의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은 저출생 극복 의지를 천명하는 상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민규 기자(=창원)(cman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