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동물 논의 가운데 이번 ‘제14회 아시아 포 애니멀스(AfA) 콘퍼런스’에서 유독 관심을 얻은 분야는 바로 ‘수생동물의 복지’였다. 폐막일인 지난달 28일 열린 관련 세션은 100여 석의 자리가 꽉 찼고, 이와 별도의 폐막 연설은 지난 20년간 어류 복지를 연구해 온 린 스네든 스웨덴 예테보리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지난달 28일 린 스네든 스웨덴 예테보리대 교수가 ‘제14회 아시아 포 애니멀스 콘퍼런스’에서 폐막 연설을 하고 있다. AfA 제공
스네든 교수는 2002년 무지개송어의 얼굴에서 통증수용기(nociceptor)를 처음 확인한 것으로 유명하다. 어류도 포유류처럼 해로운 자극을 감지하는 신경 체계를 갖춘 것을 처음 밝힌 것으로, 통념과 달리 ‘물고기도 고통을 느낀다’는 과학적·사회적 논의를 이끌었다. 그는 어류가 특정 장소와 자극을 회피하는 것을 밝혀내 어류에게도 저가매수 기억력·학습력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어류는 우리와 완전히 다른 진화적 맥락 속에서, 다른 세계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그들도 ‘감응력’(Sentience)을 지닌 존재라는 증거를 찾고자 합니다.” 이날 폐막 연설에서 그는 어류 복지를 “가장 소외되고 경시된 분야”라고 했지만 이날만큼은 주요 관심사였다. 이번 콘퍼런스가 주식돈벌기 동물복지·보호 관련 논의의 최전선이란 걸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간 누적된 과학적 발견을 통해 ‘동물도 인간처럼 주관적 경험을 한다’는 인식이 확산했지만, 이 ‘동물’에 어류가 포함된 건 비교적 최근 논의다. 스네든 교수는 연설에서 어류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감정 없는 로봇’이라거나 ‘금붕어가 3초 기억력을 가졌다’RSI 는 것 등이다. 그는 “산호초에 서식하는 어류들에선 종 내 다른 개체 혹은 다른 종과 관계 맺는 모습이 관찰됐고, 청줄청소놀래기는 거울 속 자기 모습을 알아보는 ‘거울 테스트’를 통과하는 등 자의식을 있었다”고 강조했다. 자신의 작업을 포함해, 지난 20년간 다양한 연구로 지금은 ‘어류가 감응력을 지닌 존재’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 황금성게임설명
지난달 27일 린 스네든 스웨덴 예테보리대 교수가 한겨레와 만나 어류 복지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김지숙 기자
스네든 교수는 어류 역시 동물보호법의 보호 대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는 “전세계적으로 야생에서 포획되거나 양식장에서 길러지는 어류가 무려 1조~2조5천억마리에 달한다”며 “우리는 이들을 어떻게 인도적으로 대우하고 도살할 것인지 법으로 정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어류를 동물복지(보호)법에 포함한 국가는 뉴질랜드·노르웨이·체코 정도다. 두족류·갑각류를 ‘감응력 있는 존재’로 법에 규정한 영국도 사고파는 ‘상업’ 어류에 대해서는 동물복지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우리나라도 동물보호법 대상에 어류를 넣었지만, ‘식용’은 제외했다. 전날 한겨레와 따로 만난 스네든 교수는 한국의 상황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놨다. 최근 한국에서는 어류를 부를 때 ‘물고기’ 대신 ‘물살이’란 표현을 쓰자는 움직임이 있다고 전하자, 그는 “어류를 단순히 음식이나 상품이 아니라 하나의 생명으로 인식하는 큰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평가했다. 강원도 화천에서 해마다 열리는 ‘산천어 축제’의 사례를 듣고선, “개선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맨손으로 어류를 잡는 것은 극심한 공포·스트레스를 유발할 뿐 아니라 물 밖으로 꺼내 얼음 위에 방치하면 20분간 극심한 고통을 받다가 질식사”하기 때문이라 했다. 그는 “공기에 노출되는 즉시 도살하고, 뜰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권했다. “고통을 줄이는 것이 지금 당장 동물의 삶을 개선하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타이베이/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통역 박진화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