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재생에너지를 수도권 등 핵심 수요처로 연결하는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이 추진되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전국 송전선로 고장이 365건 발생해 누적 1만6천시간 넘게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드러났다. 잇따른 사고와 낮은 민원 해결률로 인해 사업 추진 과정에서 현장 관리 강화가 필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1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한국전력공사와 한전KPS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전국 송전선로 고장은 총 365건이 발생했다. 이 중 자연재해가 212건(58%)으로 가장 많았다. 외물 접촉 88건(24%), 제작·시공 불량 31건(8%), 경년열 대부중개업 화·기타 34건(9%) 등이 뒤를 이었다. 연평균 정지시간은 3천311시간에 달한다. 이에 따른 누적 정지시간은 총 1만6천555시간이었다. 연평평 정지시간이 3천311시간에 달했다. 사실상 매년 대규모 전력 공급 운영 차질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같은 기간 송전선로 유지보수 관련 산업재해는 9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학자금대출 신청기간 추락 3건, 넘어짐 2건, 감전 3건, 물체 충격 1건 등이 있었으며, 지난해 10월에는 경기 남양주시 철탑 작업 중 직원이 감전으로 숨지는 사고도 발생했다. 송정 관련 민원 접수가 연 평균 320여건에 달하지만, 해결률은 절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송전과 관련한 민원은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1천921건이 접 펀드란 수됐지만, 해결된 것은 1천114건(58%)에 불과했다. 현장 소통 구조 미비와 대응 부족으로 인해 민원 해결률이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에너지 고속도로'가 속도감 있게 추진되기 위해선 현장 관리 강화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에너지 고속도로는 재생 경영대학원 에너지 핵심 클러스터인 호남에서 생산된 전기를 핵심 수요지인 수도권 등 전국에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고압직류송전(HVDC)망을 건설하는 정책이다. 에너지 고속도로는 2030년대에 서해안을 축으로 하는 에너지 고속도로를 우선 건설하고, 이를 남해안, 동해안으로 넓혀 2040년대에는 전 국토에 U자형 에너지 고속도로를 놓겠다는 것이 이재명 정부의 구상이다. 중앙사거리 허 의원은 "2038년까지 송전망 1.7배 확충 계획은 인공지능(AI), 이상기후 등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불가피한 선택"이라면서도 "고장·정지, 산업재해, 낮은 민원 해결률 등 현장 관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계획의 실효성을 잃을 수 있는 만큼, 단순 선로 증설이 아니라 사회적 신뢰와 안전을 함께 담보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서울/임소연 기자 lsy@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