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기릴게임 ㈛ 꽁머니사이트 ㈛? 47.rse392.top ╀2025 제21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이 2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렸다. 이날 ‘북극항로시대 해양수도 부산과 동북아 공동번영’ 주제의 토크쇼에서 왼쪽부터 김태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안병민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연구원, 김엄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전략연구실장이 얘기를 하고 있다. 정용일 선임기자 yongil@hani.co.kr
북극항로 개척 시대를 맞아 부산이 동북아시아 해양수도로 자리매김하려면 친환경 선박 연료를 제공하는 벙커링이 되어야 하고 해양수산부 권한 강화와 함께 부산·울산·경남의 긴밀한 협력과 산업·물류·금융·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동북아 해 전문직 양수도 부산과 동아시아의 미래’ 주제로 개막한 ‘2025년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첫날 첫번째 세션에선 김태만 한국해양대 교수의 사회로 ‘북극항로시대 해양수도 부산과 동북아 공동번영’ 주제의 토크쇼가 열렸다. 안병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빙연구위원과 김엄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전략연구실장이 토론자(패널)로 나섰다. 북극항로는 198 지급수수료 7년 러시아 무르만스크 선언을 계기로 국제적 관심사가 됐다. 당시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북극권의 자원 공동 개발과 환경보호를 위한 북극권 개방을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북극항로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코리안 루트를 개척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정부는 북극정책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문재인 정부는 북극활동진 주택저당채권 흥기본계획과 2050년 극지비전을 수립했고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설치했다. 윤석열 정부는 극지활동진흥기본계획을 마련했지만 세부 과제에 대한 실제적인 활동은 없었다. 이재명 정부 123개 국정과제에 북극항로가 포함됐다. 안 연구위원은 “북극은 이제 국제적인 협력 어젠다가 됐다”고 말했다. 북극항로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다. 201 엑셀재무계산기 4년 북극항로를 이용한 물동량은 400만톤 수준이었다. 2019년엔 8배 증가한 3150만톤이다. 지난해는 3780만톤이다. 러시아는 2035년 북극항로 물동량을 1억3천만톤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안 연구위원은 “지난해 북극항로 물동량 3780만톤 가운데 북극항로를 단순 통과만 하는 화물은 307만톤이다. 북극항로 통과 화물의 95%가 중국 화물 부모님동의 이다”라고 설명했다. 안 연구위원은 중국의 북극항로 활용 움직임을 경계했다. 그는 “중국이 2018년 발간한 북극정책 백서에서 자신을 북극에 가까운 근북극국가로 규정하면서 북극항로를 빙상 실크로드라고 명명했다. 중국 민간선사는 2023년부터 중국 상하이·닝보·칭다오항에서 러시아 북극항만을 거쳐 북유럽 헬싱키·함부르크 등을 연결하는 북극 익스프레스 정기 컨테이너 항로를 개설했다. 중국 교통부는 쇄빙선 건조 계획과 중국-러시아 컨테이너 정기화 서비스 확대를 위한 높은 수준의 내빙선 건조 계획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북극항로는 지정학적인 위험을 안고 있다. 베링해협을 사이에 둔 러시아와 미국의 거리는 90㎞다.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 사이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최단 비행거리가 북극항로 경유지였다고 한다. 안 연구위원은 “미국은 알래스카와 그린란드에 레이더시설과 공군기지를 통한 감시활동을 하고 있다. 러시아는 2014년 북극군사령부를 창설하고 신형 방공망과 미사일을 배치했다. 또 북극항로 지역을 러시아 핵잠수함의 ‘세컨드 스트라이크’ 능력 보장 구역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으로 북극이사회 회원국 구조가 나토 회원과 러시아 대립 구조로 변화했다. 러시아의 회원국 탈퇴나 러시아 중심의 또 다른 북극협의체 구성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북극항로와 관련한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높게 평가했다. 그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m가 넘는 두께의 얼음을 깨며 항해할 수 있는 쇄빙선 건조 기술을 확보했다. 아라온호는 북극 조사 경험을 축적해왔다”고 소개했다. 다만, 그는 “앞으로의 경쟁력은 친환경 규제에 부합하는 기술과 인프라를 얼마나 신속히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다.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암모니아·수소 추진선 기술, 선박의 에너지효율지수(EEDI·EEXI)와 탄소집약지수(CII)에 대응할 수 있는 설계 기술, 이를 지원할 벙커링·육상전원(OPS) 인프라를 동시에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2025 제21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이 2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려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를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김성경 서강대학교 교수,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 김준형 조국혁신당 국회의원, 김종대 전 국회의원, 정욱식 한겨레평화연구소장, 진희관 인제대학교 교수가 토론하고 있다. 정용일 선임기자 yongil@hani.co.kr
토론자들은 부산이 해양수도가 되기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김 실장은 “북극항로로 통항하는 선박이 친환경 연료만 써야 한다는 규제가 발효될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 부산이 항구를 드나드는 선박에 친환경 연료를 제공하는 벙커링이 되어야 한다. 부산이 해양수도가 되려면 울산 에너지 산업과 경남 조선·기계 산업과 긴밀히 연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수 선임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