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1) 김태형 기자 =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 기업 이용 실적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시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하 공공기관에 연간 구매액의 최소 5% 이상을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을 구매하도록 권장하고 있음에도 이에 미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부산경실련)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부산시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이용 현황'을 발표했다. 부산경실련은 올해 4월 17~30일 부산시와 16개 구·군, 5개 공사·공단, 16개 출자·출연기관 및 부산항만공사, 부산 소재 8개 지방청, 13개 공공기관, 4개 국립 파산비용 대학 등 64개 기관을 대상으로 관련 조사를 진행했다. 부산경실련에 따르면 작년 부산시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 이용 금액은 620억 원, 이용률은 전년 대비 0.1%p 증가한 2.89%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 이용액은 2021년 477억 원(2.64%), 2022년 589억 원(2.94%), 2023년 여자 직장인 쇼핑몰 609억 원(2.83%) 등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이용률은 2% 후반대에서 '답보' 상태에 있다. 부산경실련은 "부산시 구·군이 사회적경제 이용 확대를 견인한 반면,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 부산 소재 지방청은 이용 실적이 급갑했다"고 설명했다.
가능하신분 부산지역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이용실적 종합 결과표.(부산경실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작년 부산시의 사회적경제 이용 금액은 본청과 사업소 실적 급감에 따라 전년 대비 36억 6900만 원 감소한 37억 5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16개 기초지자체의 사회적경 주식투자자금대출 제 이용 금액은 277억 15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70억 9200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경실련은 "부산시가 사회적경제 기업 구매 확대의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함에도 구매율이 정체를 보이거나 낮아지는 건 시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의지 부족을 드러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항만공사와 지방청은 사회 저축은행 적금 적경제 이용 금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곳이 많았다. 특히 부산항만공사의 전년 대비 사회적경제 이용액이 38억 원 감소해 전체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 이전 공공기관은 2021년부터 이용 금액 평균 129억 원으로 완만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부산 소재 국립대학의 사회적경제 이용 실적은 전체적으로 소폭 개선세에 있지만, 부산대는 이용 금액 3억 원, 이용률 0.39%으로 그 실적이 저조했다. 부산경실련은 "사회적경제 이용비율제고를 위해 기관별 구매 목표제 도입 및 성과평가 반영 등의 육성·지원이 필요하다"며 "지역기업의 품질과 규모 경쟁력을 키워 공공기관을 비롯해 부산지역 공공기관들이 부산기업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th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