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반대하는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옛 소련 시절의 인권 탄압 수단을 부활시켰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반체제 인사를 정신질환자로 몰아 강제 입원시키는 방식이 재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리아나 카차로바 유엔 러시아 담당 인권 특별보고관은 2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러연복리 시아에서 반전 목소리를 겨냥한 '징벌적 정신의학'이 돌아왔다"고 선언했다. 카차로바 보고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의 여론 탄압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더욱 체계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가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내 강제 정신의학 치료 사례는 2022년 이후 연평균 2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5~202삼영전자 주식 1년(연평균 5건) 대비 4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카차로바는 "이는 반체제 인사, 특히 반전 운동가와 언론인을 억압하던 옛 소련의 도구"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고문과 형사 기소 등의 조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로는 마리아 포노마렌코가 거론됐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허위 정보를 퍼뜨렸다는 이유KODEX자동차 주식 로 2023년 투옥됐고, 반전 입장을 고수했다는 이유로 강제 정신과 치료 명령을 받았다. 이후 지난 3월에는 10년의 추가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반체제 인사나 이른바 '배신자'로 간주되는 인물을 처벌하기 위해 강력한 법안들을 통과시켰다. '외국 대리인' 또는 '가짜뉴스 유포' 관련SNH 주식 법을 통해 언론인과 정치적 반대파, 반전 운동가들을 국가의 적으로 규정하는 방식이다. 러시아 인권 단체 OVD인포에 따르면 전쟁 발발 이후 반전 입장을 표명했다는 이유로 체포된 이들은 2만 명이 넘는다. 러시아 정부는 이 같은 의혹을 강하게 부인한다. 러시아 외무부는 카차로바 보고관의 권한을 인정하지 않는다면서 그의 조사대성산업 주식 활동이 불법적이라고 주장했다. past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