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도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향한 유일한 길인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며 팔레스타인 승인 대열에 함께 했습니다. 이로써 193개 유엔 회원국 중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한 나라가 147개국에서 151개국으로 늘었습니다. G7 국가 중 관련 선언을 한 것은 캐나다, 영국이 처음입니다 부산은행 수수료면제 . 현지 시각 22일에는 G7 국가인 프랑스도 공식 발표를 할 예정이며,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기간 몰타, 룩셈부르크, 벨기에 등도 동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상징적 의미가 강하지만, 이들 국가는 국제사회 만류에도 강도 높은 가자지구 전쟁을 이어가는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 효과가 있기를 기대하고 대출무직자 있습니다.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반대 의사를 명확히 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이번에도 부정적인 반응을 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 "두 국가 해법 지지" 한국의 선택은?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 신차 국가 인정에 대한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Q. 미국의 동맹국들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한국은 아직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아시아 내 몇 안 되는 예외 중 하나입니다. 한국의 정책이 바뀔까요?
A. 단언하기는 어렵습니다. 우리는 지금 우리 자신에게 몰두해 있지만, 지역 내 전개 상황과 유엔에서 논의는 분명히 지켜볼 것입니다. 그러나 다시 말해, 우리는 동북아시아의 변화하는 정세 속에서 취약함을 느끼고 있으며, 솔직히 말하면 세계 다른 지역에서 벌어지는 일들까지 신경 쓸 여유는 없습니다.
- 8월 3일 워싱턴포스트 인터뷰 중
하지만 다른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다는 조 장관의 발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책무와 정면 배치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국제 문제에 책임 있는 외교적 주체로 나서지 않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건 G7 플러스 가입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 정부의 위상에도 맞지 않습니다.
조 장관의 인터뷰 발언과 관련해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직접 관여된 나라들이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취지를 강조하려던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최근 외신 기자들을 만나서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문제와 관련해 전보다는 진전된 입장을 밝혔습니다.
Q. 가자지구 상황을 ‘제노사이드(genocide, 집단학살)’로 볼 수 있다고 보시나요? 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실 생각입니까?
A. 가자지구에서 일어난 일은 가슴 아픈 상황입니다. 저는 팔레스타인 외교부 장관과 어제 통화를 했습니다. 지난주에는 이스라엘 외교부 장관과 통화를 했습니다. 제노사이드(genocide, 집단학살) 여부는 국제적으로 법률적으로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시간이 걸릴 문제입니다. 한국은 그동안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을 지속 지지해 왔습니다. 현 단계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해법인 건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한국의) 입장을 정할 것입니다.
- 9월 19일 외신기자 간담회 중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을 지지하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간의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중시하지만,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협상과 평화 진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국과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 미국의 전통적인 우방들이 가자 사태를 계기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으로 돌아서자, 내부적으로 검토는 진행하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아시아에서는 한국, 일본, 타이완 등 미국의 전통적인 동맹과 우방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데, 변화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싱가포르의 경우 최근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움직임이 확산하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꾸고 있습니다.
■ 주한팔레스타인 대표 "한국이 역할해야"[연관 기사] 주한 팔레스타인 대표 “안보리 의장국 한국, 가자 휴전 중재 나서야”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77844 주한 팔레스타인 대표부 대표는 일본에 상주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을 찾아 KBS와 만난 왈리드 시암 주한·주일 팔레스타인 대표부 대표는 이스라엘의 목표는 하마스 소탕을 넘어서는 것이라며 당시 유엔 안보리 의장국이었던 한국의 역할을 기대했습니다. 한국은 갈등과 화해의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교적 논의를 촉진하고 인도적 지원과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할 수 있다고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한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 Security Council) 비상임 이사국이며, 9월 한 달간 안보리 의장국을 맡아 의장국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안보리를 공식 주재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