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비정상 소액 결제 사건에 이어 서버 침해 사실까지 늑장 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질적으로 사고 피해 규모를 키우고 실책 은폐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통신당국이 피해 신고 지체와 관련해 과징금 강화 카드를 꺼내들면서 KT의 부담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발표한 KT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침해사고 신고 내용에 따르면, KT는 서버 침해 인지 시점을 9월 15일 14시로 명시했다. KT의 신고 접수는 9월 18일 23시 57분 30초에 이뤄졌다. 정보통신망법에 의거하면 릴게임알라딘 기업은 침해 사실을 최초로 알게 된 시점에서 24시간 이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KISA에 피해 내용을 신고해야 한다. 하지만 KT가 이러한 규정을 어긴 것이다. 앞서 SK텔레콤도 4월 18일 18시 9분 시스템 이상을 감지했지만 4월 20일 오후 4시 46분이 돼서야 해킹을 당했다고 인정해 비판의 대상이 된 바 있다. KT는 SK텔레콤에롯데제과 주식 서 유심 정보 유출 사태가 터지자 자체적으로 보안전문기업에 서버 조사를 의뢰했다. 보안전문기업은 약 4개월에 걸친 점검·조사를 마친 뒤, KT에 4건의 침해 흔적이 발견됐고 2건의 침해 의심 정황이 감지됐다고 보고했다.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 대응을 증권가소식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 합동 브리핑에서 구재형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무단 소액결제 사고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KT는 지난 18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웨스트에서 무단 소액결제 사건 2차 브리핑을 열었지만, 당시에는 서버 공격투자할만한 이 있었다고 안내하지 않았다. 소액결제 피해 대응과 서버 점검이 별도로 진행돼 공유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구재형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은 “보안전문기업의 보고서 내용이 맞는지 내부 검증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됐다”며 “소액결제 사태와 상호 연결성이 없다보니 전날 브리핑 때는 몰랐다”고 HTS시스템 말했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금융위원회가 합동 대응에 나섰다. 우선 기업들이 고의적으로 침해 사고 사실을 늦게 신고하거나 신고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등의 처분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보안사고 발생 시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징벌적 과징금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기관이 해킹 정황을 확보하면 기업의 신고 여부와 관계 없이 자체 조사에 착수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보기로 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정부는 최근 국민 생활에 밀접한 통신·금융을 대상으로 하는 침해 사고로 인해 국민 피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다”며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범부처가 합심해 해킹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