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경북 포항의 동국제강 제철소는 한국 철강업계를 강타하고 있는 ‘불황’이란 단어가 전혀 어울리지 않았다. 전기로에서 갓 나온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 공정, 이를 형강 형태로 만드는 압연 공정이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졌다. 직원들은 “경쟁사들이 공장을 줄줄이 폐쇄하는 상황에도 우리는 잘나간다는 자신감이 있다”고 했다. 이유가 있다. 동국제강의 형강공장 가동률은 100%에 육박한다. 가동률이 80% 밑돌며 폐쇄 조치가 속출하는 다른 공장과 정반대다. 이 공장은 올 상반기 200억원 이상 흑자를 낸 것으 목돈모으기자동차 로 알려졌다. 비결은 제품 고도화다. 동국제강은 2000년대 초반 스페셜티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을 시작해 2010년대부터 맞춤형 형강 투자를 본격화했다. 중국 제품 수입이 늘어 범용 시장 경쟁이 심해지고, 아파트와 빌딩 등이 고층화·다양화하는 트렌드를 읽은 것이다. 형강은 건설에 쓰이는 철강이다. 경쟁사들이 표준형 철강의 생산량을 늘리는 채무조정프로그램 데 집중하던 때였다. 동국제강은 대신 선택과 집중을 위해 2012년과 2015년 경쟁력이 약했던 후판 1, 2 공장을 폐쇄했다. 업계는 정부가 추진 중인 고도화 유도 구조조정의 좋은 예시로 평가한다. 정부는 고부가가치 전환을 유도하고, 이를 따라오지 못하는 시설들의 자연 폐쇄를 유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직장인 전세임대주택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고부가가치의 형강 비중을 높이려는 시도에 나섰다. 실제 공장 현장 한편에는 고부가 제품인 ‘메가빔’과 ‘그린바’가 쌓여 있었다. 메가빔은 크기가 큰 후판을 형강 모양인 ‘H’ 형태로 용접해 만든 스페셜티 형강으로 동국제강이 처음 개발했다. 맞춤형 형강보다 크기와 강도를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제품으로 초고층 빌딩 시장이 타깃이다. 그린 아파트담보대출 상환 바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 유럽 시장을 목표로 한다. 공장의 생산 담당자는 “아직까지는 매출이 크게 일어나진 않지만 결국 성과를 낼 것”이라고 했다. 동국제강은 이 같은 구조조정을 더 서두를 방침이다. 5년 전 한국과 중국이 체결한 ‘가격 약속’의 만료 시점이 내년 초로 다가와서다. 가격 약속은 한국이 관세장벽을 세우지 않는 대신 중국이 대전햇살론 최소한 생산원가 수준 이하로 수출하지 않겠다는 양측의 합의다. 가격 약속이 끝나면 덤핑 수준의 중국산 제품이 밀려 들어올 수 있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정부 정책과 국회의 철강특별법 등에 발맞춰 고부가가치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