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끝까지 간다' 특별위원회 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스1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잠재적 대권 주자로 떠올랐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9일 나왔다.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한 인사가 없어 압도적 주자는 없지만 새로운 차기 그룹이 생겨났다는 평가다. 한국갤럽이 지난 16~18일 전국 유권자 1001명에게 ‘장래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은 결과 조국 비대위원장이 8%, 장동혁 대표가 7%로 투톱을 차지했다. 정청래 대표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각각 4%로 뒤황금성배당줄 를 이었다. 김민석 국무총리(3%),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3%),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선후보(3%), 오세훈 서울시장(1%) 등도 이름을 올렸다. 조사에서 눈에 띄게 급부상한 인사는 조국 위원장과 장동혁 대표, 정청래 대표 등 ‘톱3’ 인사다. 조 위원장은 대선 전인 지난 4월 같은 조사에서 1%에 그쳤지만 7%포인트 뛰어오르며 스켈핑매매 선호도 1위로 부상했다. 장 대표와 정 대표는 이전 조사에서는 차기 대통령감 선호도 후보에 포함된 적이 없었다. 이준석 대표 역시 지난 조사에 비해 2%포인트 오르긴 했지만 총선을 앞둔 지난해 2월 1주차 조사에서 4%를 기록한 적이 있다.
이들이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린 건 강성 지지층의 호감 덕인 것으로 분석된다. 조 위원장은 민주당 지지층의 17%가 차기 대선 주자로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에선 선호도가 0%였다. 장 대표 역시 국민의힘 지지층의 21%가 지지했지만, 민주당 지지층의 선호도는 0%였다. 다만,장 대표는골드몽 무당층에선 5%를 기록했다. 정 대표 역시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서만 9%를 기록했고, 다른 정당이나 무당층에선 지지세가 포착되지 않았다. 지역별 지지 인사도 차이가 컸다. 같은 수도권에서도 서울은 장동혁 대표(6%), 이준석(6%) 대표, 김민석 총리(5%) 순으로 지지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인천·경기는 조국 위원장(9%), 장동혁 대크라운제과 주식 표(8%), 정청래 대표(4%) 순이었다. 호남에선 조국 위원장(15%), 정청래 대표(11%) 선호가 압도적이었다. 대구·경북에선 장동혁 대표(8%), 조국 위원장(5%),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조국 위원장(10%)이 부산 출신인 만큼 강세를 보였고, 장동혁 대표(8%)의 선호도 또한 높았다. 다만, 차기 대선까지는 4년이 넘는 시간이 남았고, 의견을 유보한 응답자가 58%에 이르는 만큼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한 자리 수 지지율 주자만 있다는 건 그만큼 제대로 된 차기 주자가 없다는 의미”라며 “다만 호남에서 조국 위원장이 정청래 대표를 앞선 걸 보면 민주당 지지층이 아직도 친문·친명 등으로 분화돼 있는 걸로 해석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과 혁신당 사이 긴장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조국 비대위원장은 조사 결과에 대해 기자들과 만나 “지금 이재명 정부 (출범)이 100일 갓 지났고, 이재명 정부의 성공이 모든 것의 중심”이라며 “특히, 저나 저희 당은 그런 데 신경을 쓸 상황이 아니다. 당 쇄신에 모든 것을 집중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권 후보, 이런 얘기를 언급할 상황이 아니다”라고도 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잠시 생각에 잠겨있다. 임현동 기자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주에 비해 2%포인트 상승한 60%를 기록했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1%로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했다. ‘의견 유보’는 9%였다. 국정 수행을 긍정 평가한 이유로는 경제·민생이 13%로 가장 높았고, 소통(12%), 외교 및 전반적으로 잘한다(각 11%) 순이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가 18%로 가장 높았고 과도한 복지 및 민생지원금(10%), 전반적으로 잘못한다(9%), 독재·독단(8%) 순이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41%, 국민의힘이 24%였다. 민주당 지지도는 한 주 전에 비해 1%포인트 하락했고 국민의힘 지지도는 지난 조사와 같았다. 조국혁신당은 2%, 개혁신당 3%, 진보당 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