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공동연구진이 세포가 움직이는 원리를 규명해 암과 면역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세우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허원도 생명과학과 석좌교수 연구팀이 조광현 바이오및뇌공학과 석좌교수 연구팀, 미국 존스홉킨스대 이갑상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포가 스스로 이동 방향을 정하는 '자율주행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포 속에서 단백질들이 실제로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형광 신호로 직접 볼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징 기술 'INSPECT'를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해 세포 이동을 조절하는 핵심 단상하이종합 백질인 Rho 계열 단백질이 어떤 단백질과 결합하느냐에 따라 세포가 직진할지, 방향을 바꿀지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Cdc42-FMNL 단백질 조합은 세포의 '직진'을, Rac1-ROCK 단백질 조합은 세포의 '방향 전환'을 담당하는 핵심 회로였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허원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포 이주식홀로서기 동이 무작위적인 운동이 아니라, Rho 신호전달 단백질과 세포 이동 관련 단백질의 앙상블이 만들어내는 내재적 프로그램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이라며 "새롭게 개발한 INSPECT 기술은 세포 내 단백질 상호작용을 시각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암 전이와 신경세포 이동 등 다양한 생명현상과 질병의 분자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폭넓게 활바다이야기백경 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이희영 박사, 이상규 박사(현재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서예지 박사(현재 (주)휴룩스 소속), 김동산 박사(현재 LIBD 소속)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지난달 31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