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동(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이 구조물을 해체하기 앞서 작성한 원청업체의 계획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구조물 하부가 취약해진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했을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확인됐다. 이들은 구조물 붕괴 등 위험 요인이 있어 상부에서 하부로 철거 작업을 해야 한다고 하면서, 실제 작업 순서는 하부 철거 작업부터 진행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9일 본지가 더불어민주당 김성회(경기도 고양시갑)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울산기력 4, 5, 6호기 안전 계획서’를 분 대구 자동차 석한 결과 이들은 해체 때 구조물이 붕괴돼 작업자가 매몰되는 경우를 위험 요인으로 봤다. 그러면서 개선 대책으로 구조물 철거 작업 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철거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썼다. 하지만 이 계획서 보일러동 해체 작업에 대한 세부 계획을 살펴보면 ‘하부 10m 이내 보일러 내부 및 설비류 철거’를 1단계로 한다고 했다. 실제로 저소득가구 전세자금 는 하부에 내부 설비 등을 철거하고 후속 작업을 했을 공산이 큰 셈이다. 이 보고서를 함께 분석한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일반적으로 구조물 해체 작업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는 것이 맞다”며 “하부부터 철거 작업을 하면 그만큼 위험이 클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들은 이렇게 하부 철거 작업을 하고 난 뒤 3 지급할 단계로 사전 취약화 작업, 5·6단계로 방호 작업을 할 계획이었다. 마지막 단계가 발파다. HJ중공업에서 하도급을 받은 발파 전문 업체 코리아카코 측 관계자는 앞서 본지에 “사고 당시 (작업자들이) 타워 하부의 취약화 작업을 끝내고 방호 작업을 하기 위해 올라갔다”며 “철거 계획서에 따라 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 말대로라면 작업자들은 청주학자금대출 하부 철거 작업을 끝내고 사전 취약화 작업까지 마쳐 구조물이 약해진 상황에서 방호 작업을 진행한 셈이다. 앞서 익명을 요구한 한 해체 업계 관계자는 “방호 작업은 구조물을 약하게 만드는 취약화 작업 전에 모두 끝내는 것이 원칙”이라며 “취약화가 끝난 건물에 다시 들어가 작업한다는 것은 이해가 안 간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최 교수 역시 “법에는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 심사기간 규정하고 있진 않지만 하부가 취약한 상태에서 방호 작업을 하는 것은 안전상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계획서 곳곳에는 기본적인 수치 오류도 확인됐다. 이 계획서 앞부분 ‘공사 개요’에는 이번에 사고가 난 보일러동의 제원을 ‘12층, 높이 63.4m’로 적었다. 하지만 뒤에 나오는 ‘중점 관리 대책’에 나온 보일러동 제원에는 높이를 ‘56m’로 기재했다. ‘주요 구조물 해체 계획’에도 56m로 썼다. 하나의 보고서 안에서 해체한다는 주요 구조물의 제원을 제각각으로 쓴 것이다. 전문가들은 발파 등을 동반하는 고위험 해체 작업에서 이러한 수치 오류는 용납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최 교수는 “다른 자료와 비교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기본적인 수치도 다르게 나온다”며 “실제 현장에서는 10㎝, 1m 오차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