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4대 은행 합산 기업대출 잔액은 780조원으로 지난해 말(767조원) 대비 13조원(1.7%) 늘었다. 증가액인 13조원 중 절반인 6조7000억원이 중기대출로 나갔다. 이에 중기대출 별내지구미분양 잔액은 지난해 말 553조9000억원에서 올해 3분기 560조6000억원으로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이 지난해 말(145조원)에서 올해 3분기(149조2000억원) 사이 4조2000억원(2.8%), 신한은행(140조6000억원→143조9000억원)은 3조3000억원(2.4%) 중기대출을 늘렸다. 하나은행은(134조900 채무조정기관 0억원→142조6000억원)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7조7000억원(5.7%)을 확대했다. 우리은행(133조4000억원→124조9000억원)만 8조5000억원(6.4%) 정도 중기대출을 줄였다.
시중은행 중소기업대출 연체율./그래픽=비즈워치
네이버 계산기 4대 은행의 올해 3분기 중기대출 평균 연체율은 0.53%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0.4%보다 0.13%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은행별로 보면 올해 3분기 중기대출 연체율은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0.56%로 가장 높았다. 이어 KB국민은행이 0.54%, 신한은행은 0.45%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제일은행이율 보다 하나은행(0.43%)과 우리은행(0.4%)은 각각 0.13%포인트, 0.16%포인트 올랐고 KB국민은행(0.4%)과 신한은행(0.37%)은 각각 0.14%포인트, 0.8%포인트 증가했다. 앞서 최근 시중은행 중기대출 평균 연체율이 가장 높았던 건 2017년 1분기 0.59%였다. 중기대출 연체율 상승 여파에 시중은 든든학자금 생활비대출 상환 행 기업대출(중기+대기업) 평균 연체율도 지난해 말 0.31%에서 올해 3분기 0.4%로 0.1%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은 올해 중기대출을 13조1000억원(5.3%) 늘렸고, 그 결과 연체율은 0.79%에서 1.03%로 크게 올랐다. ▷관련기사: 금융위기 후 '연체율 1%' 처음…생산적금융에 시중은행도 '부담'(2025.10.31) 지방 경기 침체 직격탄을 받은 지방은행의 상황은 더욱 안좋다. 지방은행 합산(iM뱅크 포함) 중기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대비 1.3%(1조4745억원)늘어나는데 그쳤지만 최근 몇년간 지속된 부동산 침체, 지방경기 악화 등으로 평균 연체율이 1%에 육박했다. 전북은행이 1.2%로 가장 높았고 이어 BNK경남은행 1.01%, BNK부산은행 1%, iM뱅크 0.95%, 광주은행 0.81% 순이었다. 1금융권인 은행의 경우 연체율 1%를 넘기는 사례는 흔치 않다. 그만큼 건전성 악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은행들은 중기대출을 늘려가는 추세지만,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중소기업은 크게 증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2025년 9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외부감사 기업 중 영업이익으로 3년 이상 이자조차 못 내는 한계기업 비중이 17.1%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 이 중 중소기업이 2023년 17.4%에서 지난해 말 18%로 가장 많았다. 정민주 (minju@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