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사람들은 직장에서 성공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맺으며, 오래, 건강하게 산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자신이 사는 곳이 먼저 행복해야 한다. 그렇다면 국민이 건강상의 이점을 얻는 데 필요한 국가의 행복은 어느 정도가 돼야 할까. 《최신 의학 연구(Frontiers in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국가의 행복 수준은 국민의 조기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행복 수준이 10점 만점에 2.7점은 돼야 전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생애최초주택자금대출 국가의 행복 수준이 2.7점 이상이면 국민의 웰빙이 1% 증가할 때마다 암, 심장병, 당뇨병, 호흡기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0.43% 줄어든다. 반면 국가의 행복 수준이 2.7점 미만이면 국민의 사망 위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연구진은 '인생 사다리(Life Ladder)'라는 척도를 사용해 123개국 외환은행 새희망홀씨 의 행복 수준을 추정했다. 세계 여론조사에서 나온 질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아래쪽 0번부터 위쪽 10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사다리를 상상해 보라. 0은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삶을, 10은 최고의 삶을 나타낸다. 당신은 지금 어느 계단에 서 있나?"라는 질문에 대해 국가별, 연도별 개인 응답의 평균을 계산해 국가 행복 점수를 산출했다. 그리고 이 점수 농지취득 자격증명 신청 를 30~70세 국민의 만성 질환 사망률과 연결했다. 연구 결과 국가들의 행복 수준 점수 범위는 2.18점에서 7.97점까지였으며, 평균 점수는 5.45점이었다. 국가의 행복 수준이 2.7점을 넘었을 때부터 30~70세 국민의 만성 질환이나 비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수가 높아질수록 사망 급여계산기 률 감소의 효과는 더욱 커졌다. 반면 2.7점 미만의 점수를 받은 국가들은 행복 점수와 사망률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에서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 비만도, 음주량과 같은 요인들은 사망률 감소에 중요했지만, 행복 점수는 생존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연구진은 "국가의 행복 점수가 익금과손금 2.7점 미만으로 유지되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면, 개인의 행복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것만으로는 수명을 연장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먼저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건강 시스템, 부패 방지 개혁, 사회 안전망, 건강한 도시 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행복 수준 점수를 2.7점 이상으로 높이는 정책은 더 높은 행복과 더 낮은 사망률의 순환을 시작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행복 점수가 미래 사망률을 예측하는지, 아니면 현재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결과는 둘 다이다. 행복 점수가 높을수록 향후 사망률이 낮아지고, 사망률이 감소하면 행복 점수도 상승했다. 정희은 기자 (eun@kormedi.com)